본문 바로가기

비즈니스

간편함이 무기, 차세대 금융서비스의 미래

반응형

 

미래에는 대표적 결제수단인 카드와 물리적인 공간인 은행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래의 결제서비스, 금융서비스는 지금의 것들을 어떻게 대체할 것인가. 간편함을 무기로 앞세운 핀테크기업들이 제공하는 차세대 금융서비스의 미래에 대해 살펴본다.

 


 

 

 

중국을 보면 간편결제의 미래를 알 수 있다

먼저 간편함의 대명사, 간편결제 서비스의 미래에 대해 살펴본다. 간편결제의 전망을 알려면 중국을 보면 된다. 중국은 현재 금융서비스와 IT를 결합한 핀테크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국가다. 알리바바의 알리페이 그리고 위챗페이가 중국 핀테크 산업의 중심에 있다. 이들 기업들이 간편결제의 일상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에서는 이미 간편결제가 어디에서나 통용된다고 한다. 서비스 이용 후 현금이나 카드를 내미는 대신 휴대폰의 QR코드를 내밀고 무슨 카드를 쓸지보다 어떤 페이를 쓸지를 먼저 고민한다.

우리나라는 어떠한가? 결제 시 페이 사용을 위해 QR코드를 내미는 사람도 있지만 아직 카드를 내미는 사람이 많다. 아직 간편결제에 익숙하지 못한 탓일 게다. 그러나 간편결제로 주 결제수단이 바뀌는 것은 시간문제일 것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중국과 마찬가지로 간편결제가 보통의 결제수단으로 자리잡을 걸로 보인다.

 

 

 

 

 

 

 

 

 

고객의 스토리를 파악하라

미래에는 금융서비스가 어떤 방식으로 제공될까. 현재 국내 플랫폼들은 금융업에 직접 뛰어들기보다 금융회사의 상품을 판매하는 채널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순히 금융상품을 추천해주고 대신 홍보해주는 정도다. 그럼에도 플랫폼 기업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여서 사용자를 붙잡기 위한 목적(lock-in)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고객의 금융 행태뿐 아니라 패턴을 파악하게 한다. 따라서 다음에는 어떤 소비를 할지, 어떤 금융상품을 구매할지, 어떤 금융서비스를 이용할지 짐작할 수 있다. 즉 고객의 '스토리'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고객의 스토리를 알면 그에 맞는 서비스와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 고객은 사실 자신이 무얼 원하는지 알지 못한다. 따라서 고객의 니즈를 플랫폼이 직접 찾아주는 것이다. 이것이 시중 금융회사와 차별화된 플랫폼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미래에는 이런 고객의 스토리를 이용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매우 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개인화에 방점 찍은 금융서비스

미래에는 고객에게 맞춤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전체적인 금융서비스 자체가 개인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과거 금융서비스 제공 방식과 달라진 점으로 보아 쉽게 추론될 수 있다. 자산관리를 예를 들어 보자. 과거에는 20대는 목돈을 모으고 30대는 결혼자금을 준비하고 40대는 자녀 교육자금을, 50대에는 은퇴자금을 모으기 위해 자산관리를 했다면 지금은 자산관리의 목적이 매우 다양해졌다. 특히 20~30대의 MZ세대는 목돈, 결혼자금을 모으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해외여행을 가기 위해, 집을 사기 위해,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 혹은 창업을 하기 위해 돈을 모으기도 한다. 이처럼 다양해진 자산관리 목적이 그에 맞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게 한다.  

 

 

 

 

 

 

 

 

 

끝없는 성장, 핀테크기업들

한 시중은행에서는 작년 외부제휴를 통해 가입한 신규수신 비중이 해당 은행을 통해 가입한 비중을 근소하게 뒤따랐고 조만간 제휴 채널을 통한 가입이 추월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처럼 핀테크기업들의 성장세가 만만치 않다. 무엇보다 인터넷은행들을 주목해볼 만하다.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인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의 고객이 빠르게 늘고 있고 카카오뱅크의 경우 작년을 기점으로 당기순이익 흑자를 기록했다. 또한 토스가 인터넷전문은행인 토스뱅크를 출범할 예정이어서 인터넷은행 업계에 새로운 바람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모두 직접 은행창구로 가지 않아도 되는 '간편함'을 무기로 사용자들을 사로잡고 있다. 이에 대응해 시중은행도 맞춤형 생활금융서비스를 제공하려 하고 있다. 기존엔 계좌가 있어야만 은행의 고객이었지만 이제는 은행의 서비스를 이용하면 우리의 고객으로 간주하는 형태로 고객의 정의가 달라지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빌게이츠의 말처럼 미래에는 은행은 없어지고 은행서비스만 남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핀테크 서비스는 MZ세대만의 것?

현재 핀테크기업이 제공하는 금융서비스 이용 비율은 대체로 MZ세대를 위시한 비교적 젊은 계층이 압도적으로 높다. 반대로 50대부터 60대, 70대에 이르기까지 핀테크 서비스 이용률은 뚝 떨어진다. 따라서 핀테크기업의 서비스는 젊은 계층만을 타겟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체로 주효할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추세를 보면 꼭 그렇지도 않다. 현대카드에 의하면 5060세대의 디지털 콘텐츠 소비가 2년새(2017~2019) 2.9배 늘어났다고 한다. 이는 동일 기간 내 다른 세대를 포함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들은 평소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한 번 적응하면 젊은 세대처럼 디지털 콘텐츠와 플랫폼을 활발히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 이상 노인계층이 디지털 소외계층이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미래에는 핀테크 서비스 이용률을 봤을 때 50대 이상의 연령대가 높은 비율을 차지할 것이며 이들을 위한 맞춤서비스를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핀테크기업들의 최대 이슈, 보안

IT기업들이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큰 걱정거리 중 하나는 바로 보안이다. 핀테크기업들 역시 IT기업이기 때문에 이를 도외시할 수 없다. 특히 고객의 자산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신경써야 하는 부분이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에서는 1년새 사기이용계좌가 2배 급증하는 한편 토스 부정결제 사고에 이어 카카오뱅크에서 부정결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보안이슈가 반복해서 발생하면 결국 고객과의 신뢰에 금이 가 플랫폼 이용률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안이슈는 IT기업으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다. 미래에도 보안이슈는 선결과제로 자리잡을 것이며 이를 해결한 기업이 핀테크 업계를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형